본문 바로가기
돈 정보

유상증자 뜻 종류 호재와 악재 구별 자금조달 목적 DART 증권보고서 확인

by 궤적76 2024. 5. 15.
반응형

주식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유상증자에 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유상증자는 기업이 자본을 확충하기 위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주식 시장에서 종종 발생하는 중요한 이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상증자의 의미부터 종류, 그리고 호재와 악재를 판별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상증자 뜻 종류

자본금을 늘리는 방법

먼저 유상증자란 무엇일까요?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새로운 사업이나 설비 투자에 자금이 필요한데 경영이 넉넉지 않아 운영자금이 따로 필요한 상황이 됐습니다. 그렇다면 이 회사는 돈을 어떻게 조달할까요?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은행에서 빌린다. 그리고 채권을 발행한다. 마지막 세 번째 방법은 주식을 발행한다. 이 중에 기업들은 어떤 방식을 가장 선호할까요? 당연히 주식을 신규로 더 발행한다겠죠. 왜냐하면, 은행에서 대출받거나 채권을 발행하면 정해진 기간 내에 원금과 이자를 갚아야 합니다. 하지만 주식을 발행하고 주주들로부터 돈을 받는 경우에는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유상증자 뜻

이렇게 기업이 돈이 필요한 경우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여 그 주식을 기존 주주나 외부 투자자에게 판매함으로써 자본을 늘리는 행위를 말하는 겁니다. 이 방법은 기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걸 바로 유상증자라고 합니다. 유상증자 말 그대로 유상으로 돈을 받고 자본금을 증가시키겠다. 증자했다 이런 뜻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에 똑같이 팔겠다고 하면 유상증자에 참여할 사람이 없겠죠. 그래서 보통 새롭게 발행한 주식을 조금 더 싼 가격에 살 수 있게 메리트를 줍니다. 지금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에 똑같이 팔겠다고 하면 그냥 시장에서 사고 말지 누가 유상증자에 참여할까요?

유상증자는 호재인가? 악재인가?

호재 유상증자
악재 유상증자

이제 유상증자 개념을 조금 이해하셨나요? 그럼 도대체 유상증자는 호재인지 악재인지에 대해 좀 더 얘기를 해 보겠습니다. 여러 기사를 찾아왔는데 멜파스 주가 9% 상승, 100억 규모 3자 배정 유상증자 결정, 디스플레이텍 5% 상승, 현대차 기아 한충전 유상증자 참여 이런 기사 내용이 있죠. 이 기사만 보면 유상증자 호재인가 보다라고 생각이 드는데 반대로 다음 기사도 봐주세요. 신라젠의 경우 악재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신라젠과 샤페론은 개미들의 눈물, 대규모 유상증자 시장 반응 싸늘 등의 기사들이 많이 있습니다. SG 대규모 유상증자 결정 소식에 2%대 큰 하락, 삼보산업 유상증자 15% 급락, 이번에는 유상증자 때문에 주가가 전부 하락했다고 하는 기사입니다. 자 그럼 유상증자 호재인지 악재인지를 따질 때 체크해야 할 것들을 설명드릴게요.

주주배정 방식, 일반 공모방식

우선 회사가 선택한 유상증자 방식을 살펴봐야 합니다. 유상증자 방식은 총 4가지가 있습니다. 주주배정 방식, 일반 공모방식, 제3자 배정 방식, 주주배정 후 일반 공모방식 이렇게 4가지입니다. 주주 배정 방식은 기존 주주에게 신규로 발행한 주식을 배정하는 증자 방식이고 이미 해당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들에게 일정 비율로 새로운 주식을 살 권리를 줍니다. 두 번째 일반 공모 방식은 불특정 다수 투자자를 대상으로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공개 판매하는 증자 방식입니다. 공모주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투자자들은 해당 회사의 주식을 기존에 갖고 있지 않더라도 유상증자를 통해서 대금 납부를 하고 회사 주식을 사게 되는 거죠. 회사는 그만큼 자본금을 늘리게 되는 겁니다.

제3자 배정 방식,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 공모방식

그리고 세 번째 제3자 배정 방식은 회사와 관계가 있는 특정 대상에게 새로 발행되는 주식을 살 권리를 주는 방식입니다. 아무나 참여했던 일반 공모 방식과는 완전히 반대되는 개념이겠죠. 마지막으로, 주주 배정 후 일반 공모방식은 말 그대로 기존 주주들에게 먼저 유상증자에 참여할 권리를 주고 나서 물량이 좀 남았다면 이것을 실권주라고 하는데 이 실권주를 일반 투자자들에게 추가로 공모해서 증자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4가지 방법을 공시를 통해 확인하시고 다음으로 호재와 악재를 판단해 보겠습니다.

악재

유상증자 기사
유상증자 기사2

주주 배정 방식이나 일반 공모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하면 시장은 대부분 악재로 받아들입니다. 왜냐면 기업이 지금 벌고 있는 돈은 그대로인데 증자를 하면 주식 수가 늘어나게 되죠. 그러면 주당 가치는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해하셨죠. 그래서 악재라고 판단하고 유상증자 발표하자마자 주가가 떨어지는 게 보통입니다. 더군다나 새로운 사업 모델 없이 증자한다면 시장의 해석은 더 안 좋을 수밖에 없습니다. 버는 돈은 그대로인데 새롭게 투자하는 사업까지 미래가 불투명하다? 이런 공시는 악재라고 판단하는 이유입니다.

호재

그런데 제3자 배정 방식의 경우는 좀 다릅니다. 이 경우에는 특정 기업이나 거대 자본을 가진 자가 유증에 참여할 뜻을 밝혔다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호재로 인식됩니다. 그러니까 특정 기업이 참여했다는 건 이 기업의 미래를 밝고 좋게 보고 있다는 뜻이겠죠. 그리고 이런 경우에 참여한 기업과의 시너지 효과까지도 기대가 되면서 시장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꼭 제3자 배정 유상증자 공시가 뜨면 주가가 무조건 100% 오르는 것은 아닙니다. 유증에 참여하는 기업이나 자본의 출처도 중요합니다. 그냥 확률이 높다 정도로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유상증자 방식과 함께 한 가지 더 체크해야 할 부분이 하나 더 남아있습니다.

자금 조달의 목적

유상증자의 목적입니다. 자금 조달의 목적은 크게 시설자금, 영업 양수 자금, 운영자금, 채무상환 자금 등으로 나뉘는데 시설 자금은 신규 설비투자 같은 것이 포함되겠고, 영업 양수 자금은 M&A 목적으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운영자금은 말 그대로 회사에 필요한 돈을 여러 부분에 사용하겠다는 것이고, 채무 상환 자금은 빚을 갚겠다는 거겠죠. 딱 봐도 채무 상환 자금으로 쓰인다고 하면 누가 좋게 보겠습니까? 그러니까 회사가 돈이 없어서 주식을 더 찍어낸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주가가 빠집니다. 하지만 이렇게 조달한 자금을 사업성 있는 분야로 확장이나 설비투자 또는 시너지를 낼 수 있는 M&A에 쓰겠다고 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호재로 받아들여지기도 합니다. 충분히 가치 있는 부분에 쓸 돈이라고 생각이 들면 투자자들은 유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청약에 굉장히 적극적으로 참여하겠죠.

DART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증권보고서 확인

다트 검색
다트 유상증자결정 검색
다트 유상증자결정 검색 결과

그렇다면 이제 유증 방식과 자금 조달 목적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먼저 네이버에서 DART 다트를 검색합니다. 그러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사이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다트에 들어가서 좌측 검색 조건에서 보고서명을 선택하시고 검색 조건을 유상증자결정으로 검색합니다. 그리고 검색을 누르면 유상증자를 한 기업명이 날짜별로 나열됩니다. 이렇게 정리된 표를 볼 수가 있죠. 여기에서 우리는 증자 방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HTS나 MTS에서도 공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용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려면 이렇게 다트를 이용해서 확인하시는 걸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요약 및 마무리

마무리하면서 정리를 해보면 유상증자는 자금이 필요한 회사가 기존 주주나 불특정 다수 일반인 또는 특수 관계인에게 신주를 발행하고 대금을 받아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하는데 보통 제3자 배정 방식의 경우에는 호재로 그리고 나머지는 악재로 인식이 됩니다. 그리고 유상증자의 목적에 따라서 평가도 나뉘기 때문에 자금이 정확히 어떤 부분에 사용되는지 증권보고서를 통해 확실히 파악해야 합니다. 요즘은 굉장히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호재일 수도 악재일 수도 있습니다. 어떤 목적에서 어떤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실시하는지 꼼꼼히 체크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유상증자의 개념과 유상증자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EDGC거래정지 유보율 부채비율 계속기업존속능력 불확실성 상장폐지심사

최근에 거래정지 이슈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 인터로조에 이어 EDGC가 감사 의견이 거절됐다는 공시가 나왔습니다. 1만 1000원 갔던 종목이 지금 마이너스 96%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중간에 유증도

trajectory.tistory.com

 

 

미국의 3대 주가지수 S&P500 지수 S&P 뜻은?

S&P500 지수를 열 글자로 표현한다면 '미국의 대표 주가지수다'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3대 주가지수인 S&P500에 대해 준비해 봤는데요. 전 세계인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지수며 워런 버핏

trajectory.tistory.com

 

 

 

배당성장 ETF 월배당 ETF 커버드콜 ETF 배당률과 주가 수익률 비교

오늘은 ETF 중에서도 배당 관련된 ETF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배당 ETF는 배당금을 얼마나 많이 주는지 그리고 배당 성장률은 높은지가 중요한데요. 현재 시점에서 다양한 배당 ETF의 배당률을 점검

trajector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