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저가 대량생산 길 여는 최적 조합 찾았다

by 궤적76 2023. 5. 18.
반응형

한국전기연구원 박준호 박사팀이 비싼 황화리튬과 첨가제가 필요 없는 ‘간단 합성법’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최근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화재나 폭발 위험이 없는 전고체전지(황화물계) 관련 성과를 다수 선보이고 있는 가운데, 고체전해질을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기술이 개발되어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고체전해질 간단 합성법
간단 합성법으로 제조된 고체전해질 원료 용액(왼쪽) 및 열 처리 후 만들어진 고체전해질 분말(오른쪽)

고체전해질 간단 합성법

KERI 이차전지연구단 박준호 박사팀은 고가의 황화리튬은 물론, 첨가제 없이 고순도의 고체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는 ‘간단 합성법(One-pot)’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고체전해질 제조법은 고에너지 볼 밀링(ball milling) 공정을 통한 ‘건식 합성법’과 용액의 화학반응을 활용하는 ‘습식 합성법’이 있는데요. 연구팀은 공정의 스케일업 및 양산화 관점에서 유리한 습식 합성법에 집중했고, 용매 내에서의 최적 합성 반응을 통해 고순도의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 바로가기
한국전기연구원 바로가기

고체전해질 간단 합성법 장점

가장 큰 장점은 고가의 황화리튬(Li2S)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며 황화리튬은 고제전해질 제조를 위해 투입되는 시작물질 비용의 95%를 차지할 정도로 비싸죠. 또한 습식 합성과정에서 황화리튬이 미반응 불순물로 남아 셀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합니다. 일부 황화리튬을 사용하지 않는 합성법이 제안되기도 했지만, 고가의 첨가제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고, 잔존 불순물이 발생하여 결과물도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KERI의 간단 합성법은 기존 습식 공정 대비 황화리튬은 물론, 어떠한 첨가제나 추가 공정 없이도 양질의 고체전해질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고 합니다. 비용은 기존 황화리튬을 사용했던 재료비 대비 무려 1/25배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고, 제조 공정 시간도 줄여 고체전해질의 대량생산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차와 충전기
배터리 팩
전기자
테슬라
건전지
전기차충전기

언론 인터뷰

박준호 박사는 “연구원에서 수년간 축적해 온 고체전해질 제조 노하우를 기반으로, 유기 용매 내에서 시작물질의 최적 화학반응 조합을 통해 고순도의 고체전해질을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식을 찾았다”라고 밝히며 “전고체전지 상용화의 가장 큰 난관인 가격 경쟁력과 대량생산 이슈를 모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습니다. 원천기술과 관련한 특허 출원, 국내외 성과 논문 게재 등을 완료한 KERI는 이번 성과가 전고체전지 관련 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고, 수요 업체를 발굴하여 기술이전을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한편 KE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며 이번 연구는 KERI의 기본사업인 ‘불연성전지 상용화를 위한 제조공정 핵심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 진행됐습니다.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는 왜 에너지 밀도가 높을까요?

차세대 배터리의 주인공 전고체 배터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몇 달 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에서 전고체 전지의 수명과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배터리를 작게 구현한 원천 기술을 개발

thesea76.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