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차216

정말 전기차 화재가 가장 많을까? 최근 우리나라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의 성장세는 그야말로 매섭습니다. 2022년 전기차 30만 대 시대에 들어섰고 신규 등록만 놓고 보자면 2022년 2분기에만 1000여 대가 등록되어 전체 신규 등록 대수의 9.5%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이처럼 전기차가 우리 생활 속으로 빠르게 스며들고 있지만 동시에 낯선 전기차에 대한 근거 없는 공포도 번지고 있습니다. 바로 전기차 화재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전기차가 화재에 취약하고 한 번 불이 나면 걷잡을 수 없이 폭발해 큰 피해를 일으킨다고 특히 화재 사고가 날 때마다 자극적인 키워드가 언론을 뒤덮으면서 전기차에 입문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화재의 주원인은 배터리 불량이나 파손입니다. 내연기관차의 성능을 결정짓는 것이 .. 2023. 1. 15.
코나EV 풀체인지 코나 EV가 풀 체인지가 돼서 나온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화재 사건 때문에 이미지가 안 좋아졌죠. 그렇게 단종 아닌 단종이 됐습니다. 그런데 12월 20일 현대자동차 홈페이지에 공식적으로 이미지가 공개되었습니다. 홈페이지에 나온 내용에 따르면 디올 뉴 코나라고 명명했어요. 현대차에서 작명할 때 풀 체인지가 되면 디올 뉴라는 수식어를 쓰죠. 스펙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면 상세한 스펙은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기본적인 크기를 보면 전장은 4350mm 휠 베이스는 2660mm를 기반으로 하는 내연 기관 차와 4355mm 전장에 휠 베이스는 동일한 N모델과 전기차로 나눕니다. 내연기관 모델을 기본으로 하는 일반적인 신차 디자인과 달리 전기차 모델부터 디자인했다는데 이것은 내연 기관과 N라인 모두 미래 지향적인.. 2023. 1. 11.
전기차 배터리 수명은???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은 얼마나 될까요? 2년 정도 스마트 폰을 사용하면 겉보기엔 멀쩡해도 배터리가 하루도 안 가 알람을 보내 불편했던 경험 해봤을 텐데요. 실제로 배터리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50.9 %가 배터리 수명 문제로 불편함을 겪었다고 답을 했습니다. 그렇다면 배터리로 움직이는 전기차는 어떨까요? 스마트폰처럼 2~ 3년 정도 쓰다가 바꾸는 일이 발생할까요?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전기차는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배터리는 크기에 비해 용량이 커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휴대 전자기기에 많이 쓰입니다. 하지만 500회 정도 충전하면 배터리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데요. 스마트폰과 노트북의 배터리 교체 비용이 10만 원에서 20만 원 정도라면 전기차의 경.. 2023. 1. 9.
그린카드 발급 받고 전기차 반값 충전~~ 전기차를 소유하신 분이라면 휴대폰에 충전 관련 어플을 다운해서 사용하실 텐데요. 그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어플에서 진행 중인 이벤트를 소개합니다. 어플은 아래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EV Infra입니다. 그럼 간단하게 이벤트 소개하겠습니다. 소개드리고자 하는 어플은 내 주변에 충전기 위치를 지도로 보여주고, 현재 사용 중인지 알 수 있으며, 완속 및 급속 표시, 충전기 타입, 충전 사업자 등 필요한 정보를 알아보기 쉽게 알려 줍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고장제보와 충전이력 조회, 충전비 인상 소식 등을 알려주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어플을 사용하기 전에는 회원 가입을 한 충전기를 찾아다녀야 했는데 이 어플을 사용하면서 집 가까운 곳에서 충전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업자 들과 로밍 서비스를 .. 2023. 1. 8.
2023년 전기차 사도 될까? 날이 갈수록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관심에 더불어 2022년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가 30만 대를 돌파했습니다. 이 높은 관심은 2023년도에도 꺼지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2023년도 전기차 과연 구매해도 괜찮은지 충전 인프라와 충전요금은 앞으로 어떻게 될지 늘어나는 전기차와 확산하는 생태계는 전기차 구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차 구매하시는 분들이 꼭 아셔야 할 사항 중에 매년 바뀌는 부분이 있는데요. 바로 보조금입니다. 보조금은 국가와 지자체에서 따로 줍니다. 이 중 국가보조금이 2022년 600만 원에서 올해는 500만 원까지 줄인다고 합니다. 그런 이유가 있는데요. 올해 16만 5000대였던 보조금 지급 차량을 5만 대 늘려서 21만 5000대까지 확대한.. 2023. 1. 8.
전기차 EV6 1년을 운행하며... 배우며... (출고부터 1년 2개월) 내연 기관차를 타다가 전기차로 넘어온 지 어느덧 1년이 넘었다. 처음 차를 계약하고 약 8개월을 기다려서 차를 만났고 혹시나 니로EV나 코나처럼 배터리 결함이나 기타 문제점이 있지 않을지 맘을 졸이며 전기차에 적응했다. 차를 받기 1주일 전에 이렇게 갑자기 연락을 줄지는 몰랐다. '올해는 차를 받지 못하는구나' 하고 큰 기대 없이 지내고 있었는데 9월 마지막 주에 전화가 와서 부랴부랴 출고과정을 마쳤다. 참고로 EV6롱레인지 어스 모델에 4륜구동을 선택했다. 첫 충전 차는 받았지만 아무런 지식이 없다 보니 첫 충전도 너무나 생소했다. 일단은 환경부 홈페이지에 가입을 하고 충전 카드를 신청했다. 충전기 사업을 영위하는 곳이 많아서 회사별로 충전비도 다르고 회원에게만 싼 요금을 적용하다 보니 집 주변에 전기.. 2023. 1. 7.
겨울철에는전기차도 춥다. 전기차 상식 전기차 타면 겨울에 항상 나오는 얘기가 있죠. '겨울에 주행거리가 너무 짧고, 충전 속도도 떨어진다.' 원인은 배터리 안에 전해질이 겨울이 되면 온도가 낮아지면서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겨울에는 히터를 많이 쓰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량도 늘어나는 것이 사실입니다. 내연 기관차 같은 경우 엔진 열을 이용해서 히터로 사용하는 반면 전기차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PTC 히터로 난방하기 때문에 특히 전기 에너지 소모가 빨리 된다고 느껴집다. 전기차에 적용되는 PTC 히터는 헤어드라이어랑 유사한 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우리 가정에서 사용하는 헤어드라이어가 보통 소비 전력이 1Kw 정도라면 전기차는 이보다 훨씬 큰 3.5Kw ~ 5Kw의 히터가 적용됩니다. 그래서 히터를 사용하면 배터리가 평소보다 많이 소.. 2023. 1. 6.
전기차 살까? 말까? 기아 EV6 14개월, GV60 12개월, 아이오닉5 12개월, 니로EV도 12개월, 아이오닉6는 18개월, ID4는 계약 중단 기약 없음.... 방금 이야기했던 차종과 기간은 뭘 의미하는지 다 아시죠. 전기차 계약 후 출고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전기차 청약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그 어떤 차종보다 대기 시간이 길고 경쟁이 치열하며 출고하기까지 엄청난 인내가 필요한 게 바로 전기차인데요. 이렇게 오래 기다리고 힘들게 출고했으면 당연히 신나는 마음으로 전기차 라이프를 즐기는 게 지극히 정상적인 순서인데 즐거움을 누리지 못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꽤 많습니다. 제 주변만 하더라도 전기차를 출고받은 뒤 짧게는 한 달 길게는 1년 내외를 운행하다가 도저히 못 하겠다며 팔아버리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전기차.. 2023. 1. 2.
회생제동, 전기차 멈출 때 브레이크 등이 안들어 온다? 어쩌면 지금까지 팔린 전기차를 죄다 리콜해야 할 수도 있겠네요. 이번에 문제가 되고 있는 건 브레이크 등입니다. 뒤차 놀라게 하는 전기차 브레이크 등을 국토부가 이제야 바꾼다는 겁니다. 이게 무슨 내용인지 보니까, 전기차는 회생제동이 있잖아요. 엑셀에서 발을 떼면 회생 제동이 걸리면서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거죠. 저도 전기차를 타면서 이런 생각을 많이 했거든요. 회생제동은 전기차를 타본 분들은 아시겠지만, 제동력이 강합니다. 원 페달 드라이빙이라는 말이 괜히 생긴 게 아니죠. 브레이크 페달 없이도 일상 주행이 가능할 정도로 회생 제동의 제동력이 큽니다. 그래서 이 정도 제동력이면 브레이크로 멈추는 거나 마찬가지인데 브레이크 등이 들어오는지 안 들어오는지 궁금할 때가 많았거든요. 전기차 뒤를 따라가다 보면.. 2022. 1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