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국내 충전기 제조업체 SK시그넷 대영채비 이브이시스 PNE시스템즈

by 궤적76 2023. 11. 12.
반응형

QYR 서치코리아에서 국내 충전기 제조 회사에 대한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보고서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내용을 핵심만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바로 시작합니다.

국내 전기차 충전기 보급 현황
전기차 충전기 인프라 구축 정부 예산

충전기 제조업 시장

QYR 서치코리아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국내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의 경쟁 구도를 4강 다중 체제로 분석하고 미래 핵심 경쟁 요인을 도출했습니다. 정부의 충전기 보급 목표인 2025년 누적 51.7만 기를 기준으로 국내 충전기 제조 시장 규모는 연평균 3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국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은 제조와 운영 분야로 나눌 수 있으며 양자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해당 보고서는 충전기 제조업 시장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분석 대상 기업은 충전기 제조 매출액 100억 이상인 9개 사와 스타트업 대표로 에바를 포함해 총 10개 사입니다.

충전기 제조 회사 4강 체제

평가 항목은 매출액, 충전기술, 파워 모듈 내재화, 전략적 파트너십, 해외 진출 등 5개 항목으로 비교 분석했습니다. 이들 기업의 경쟁력 종합평가 결과는 SK 시그넷이 1위, 대영채비와 이브이시스가 공동 2위에 올랐으며 피앤이시스템즈가 4위를 차지하며 4강 체제를 형성했습니다. 이들은 초급속 충전기를 주력으로 내수 시장을 넘어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한 점에서 높이 평가되었습니다. 클린일렉스, 모던텍, 코스텔, 하이비차저, 에바, 파워큐브 등은 중위 그룹을 형성했습니다.

  • SK 시그넷
SK 시그넷 미국 법인
SK 시그넷 매출관련 지표
SK 시그넷은 이미 미국 시장에서 잠재력을 예상해 선제적 투자를 해왔으며 개척자로서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신인 시그넷이브이 시절 확충해 온 전기차 충전기를 발판으로 올해 상반기 기준 초급속(200Kw 이상) 부문에서 미국 시장 점유율 1위를 달리는 중입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전체 매출의 82%를 미국으로부터 거둬들이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해 독일에 유럽 지사 'SK시그넷유럽(SK Signet Europe)'을 세우고 유럽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대영채비
대영채비 충전기
채비 스테이
대영채비는 2016년 설립된 국내 1위 급속·초급속 충전기 운영 민간사업자로 전국에 총 5000여 기의 자체 충전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기차 충전기 제조부터 설치, 관리, 판매, 운영 서비스까지 제공합니다. 현대차와 렉서스, 포르쉐, LG에너지솔루션 등 여러 대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진출도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올 1분기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캘리포니아 전기자동차 인프라 프로젝트(CALeVIP)' 사업자로 선정됐으며 해당 프로젝트는 캘리포니아 전역에 전기차 충전소 설치 및 운영을 지원하는 것으로, 대영채비는 국내뿐 아니라 미국 전역의 전기차 이용자와 기업 등으로 고객군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되는 요인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에 일본과 사우디에서 충전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 이브이시스
이브이시스 충전소
이브이시스 충전기
이브이시스(옛 중앙제어)는 경영권을 지난해 1월 롯데정보통신이 인수하였습니다. 국내에서 전기차 충전기를 제조하고 생산하는 업체로 작년 약 488억 원의 매출을 올렸고 국내에 보급된 전기차 충전기 중 약 30%가 이브이시스 제품으로 추정됩니다. 롯데정보통신으로 편입하면서 북미 진출에 속도를 내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전기차 충전기 풀 라인업에 대해 유럽 내 기술 인증을 획득했고 미국 내 기술 인증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높은 기술력과 풍부한 자본력을 갖춘 만큼 SK 시그넷처럼 북미로 파고들 만한 역량이 충분합니다.

 

  • 피앤이시스템즈
PNE시스템즈 충전기
PNE시스템즈 충전기 브랜드
원익피앤이의 자회사인 피앤이시스템즈는 글로벌 전기차 충전 시장의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기차 충전 브랜드 ‘MAXERO’를 새롭게 론칭하는 동시에 3kW 완속에서 400kW 초급속까지 전기차 충전기의 풀라인업을 구성하고 북미 및 유럽에서 인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미 일본에서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LS일렉트릭과 전기차 충전기 연구개발(R&D), 제조, 마케팅 등에서 전략적 협력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맺었습니다. 피앤이시스템즈는 올해 상반기부터 LS일렉트릭에 완속·급속·초급속 전기차 충전기를 제조자개발생산(ODM) 방식으로 공급합니다.

충전기 시장의 규모

정부의 정책은 2030년까지 전기차 420만 대 시대를 대비해 충전기 123만 대 이상을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충전기 구축 지원을 위한 내년 예산을 전년 대비 44% 늘려 4365억 원으로 책정했습니다. 미국의 경우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은 연평균 29.1% 성장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7년 뒤인 2030년에는 240억 달러, 30조 원 이상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같은 해 예상되는 글로벌 전기차 충전기 시장의 10% 내외를 차지하는 규모이며 현재 확충된 기업, 정부 투자를 고려하면 미국 전기차 충전기 시장의 성장치는 더 높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입니다.

 

국내 전기차 충전기 시장의 핵심 경쟁력 요인은 충전 기술 리더십, 핵심 부품 내재화, 해외 시장 확장성 등으로 요약됩니다. 완속 충전 기술은 범용화 단계이므로 초급속 충전 기술력이 중요하며 신기술을 접목한 파괴적 혁신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파워 모듈은 급속 충전기의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으로 내재화가 필요합니다. 또한 협소한 내수시장의 한계 극복을 위해서는 해외시장 진출이 필요합니다. 국내 충전기 시장은 정부 지원 정책에 힘입어 안정적인 성장세가 예상되나 다수 시장 참여자에 의한 치열한 경쟁 구도는 가장 큰 리스크 요인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충전기 제조사들은 수익률이 저조하거나 영업 적자 상태이므로 무분별한 확장보다 내실 있는 성장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며 세부 내용은 QYR 서치코리아의 블로그를 참고 하시기를 바랍니다.

 

 

[보고서 발간] 한국 전기차 충전기 제조기업 경쟁력 비교 - QYResearch Korea

글로벌시장조사기관 QYResearch 한국법인 #큐와이리서치코리아(QYResearch Korea)에서 한국 전기차 ...

blog.naver.com

 

 

SK시그넷 텍사스공장 가동 예정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이어 미국 정부가 강력한 탄소배출 규제까지 내놓았는데요. 미국에서 친환경 전기차로 전환하는 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될 것 같습니다. 전기차 보급에 발맞춰 빠르게 충전

thesea76.tistory.com

 

 

전기차 무선충전 기술 곧 대중화되나?

전기차를 타면서 가장 불편한 점 중 하나는 바로 충전일 텐데요. 긴 충전 시간도 문제지만 비어있는 전기차 충전소를 찾고 내려서 결제하고 충전 코트 뽑고 꼽고 만약에 오류가 나면 이 과정을

thesea76.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