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첫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를 개최
|
지난해 국내 금융‧경제 부문의 최대 화두였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올해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미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당분간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할 생각이 없다는 확고한 견해를 밝힌 가운데, 한국은행 역시 이 같은 미국의 긴축 기조를 따라갈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한국은행 역시 올해 기준금리 인상의 속도 조절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당장 금리 인하를 검토하는 건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히며 이 같은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정부가 금융시장 안정에 초첨을 맞춘 만큼 한국은행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당분간 5%대의 높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면서 올해도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이 총재는 최종금리 수준과 관련해 "기준금리 3.5% 전망은 다수 금융통화위원회 위원들의 의견이지, 한국은행의 약속이 아니다"면서 "전제가 바뀌면 달라질 수 있다"며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음을 시사했다.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진 점도 한은의 금리 인상을 어렵게 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정부는 '2023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을 1.6%로 끌어내렸다. 이는 한은 전망치 1.7%보다 낮은 수준으로, 정부가 이듬해 성장률 전망을 한은보다 낮게 예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만큼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미로, 한은으로서는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한국은행은 오는 13일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를 개최한다. 현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3.25%다. 지난해 ‘베이비스텝(한 번에 금리 0.25% 포인트 인상)’을 5번, ‘빅스텝(한 번에 금리 0.50% 포인트 인상)’을 2번 진행한 결과다. 지난해에만 기준금리를 총 2.25% 포인트 인상한 한국은행이 올해는 금리인상 기조를 얼마나 강도 높게 유지할지가 관건이다.
지난해 12월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5.0%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5월부터 8개월째 5% 넘는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5.1% 올랐다. 1998년(7.5%) 이후 최고치다. 한국은행은 소비자물가가 올해 초에도 5% 내외의 높은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도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둔 통화정책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각에서는 올해도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이 같은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적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기준금리 인상 여력은 아직 남아있지만, 과도한 금리인상에 따른 경기침체의 후폭풍을 이제는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해 말 진행된 간담회에서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7% 수준인데, 이는 경기침체 국면에 진입할 수 있는 경계선”이라며 “기준금리 상승으로 인한 부동산 가격 조정과 이에 따른 금융안정 저하 가능성 등 우리 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부작용 등도 각별히 살펴보겠다”라고 말한 바 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소하게 커피값 벌기 (0) | 2023.01.08 |
---|---|
복지 지원금 미리 확인하고 알림 받기 (0) | 2023.01.07 |
우체국 푸르니 적금 5.8%, 예금자보호 (1) | 2023.01.03 |
넷플릭스 공유 금지 (0) | 2023.01.03 |
2023년 올해부터 부모급여 지급 (0) | 2023.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