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테슬라 미국에서 자율주행 오토파일럿 결함으로 200만대 이상 리콜

by 궤적76 2023. 12. 14.
반응형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자사의 주행 보조 시스템인 '오토파일럿'에 결함이 발견되어 이를 수정하기 위해 약 200만 대의 전 모델을 리콜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 조치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기능의 결함을 지적한 결과입니다.

테슬라 미국에서 리콜

테슬라 미국에서 203만 대 리콜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가 2012년 10월 5일부터 2023년 12월 7일 사이에 생산하여 미국 시장에서 판매한 모든 차량을 무상으로 리콜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테슬라는 이 리콜 안내에서 오토파일럿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부주의 예방성이 충분하지 않아 충돌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따라, 2012년부터 2023년까지 생산된 모든 모델 S,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생산된 모델 X,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생산된 모델 3, 그리고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생산된 모델 Y가 리콜 대상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총 약 2,030,000대가 리콜 대상으로 추정되며, 사실상 테슬라가 지난 2012년부터 올해까지 미국에서 판매한 모든 차량을 리콜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오토파일럿 사고 1000건

테슬라 OTA
테슬라 모델X

이번 조치는 전날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테슬라 ‘오토파일럿’의 오용 가능성을 막을 충분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며 NHTSA는 오토파일럿 기능이 작동한 테슬라 차량이 응급 차량과 충돌하는 등 오작동 사건이 1000여 건에 육박하자 2021년부터 2년간 조사를 벌여왔습니다. 특히 오토파일럿 기능을 쓰다가 난 충돌 사고 11건을 분석한 결과, 충돌 전 2초에서 5초 사이에 운전자가 피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운전자가 손을 놓고 있는 사이에 장애물이 갑자기 나타날 경우에 그대로 충돌하는 일이 일어난 것으로 해석됩니다. NHTSA는 성명서를 통해 "조사 결과 차량에는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장치가 부족하여 오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자율주행 기술은 책임 있는 운영 시에만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테슬라 잦아지는 리콜

테슬라는 현재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마니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기차 글로벌 판매량은 작년 대비 약 86% 증가했습니다. 테슬라는 세련된 디자인과 첨단 기술로 혁신을 이끌어내는 아이콘이 되었으며, 테슬라 팬덤까지 형성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품질과 안전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며 각국에서 리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올해만 4번째 리콜을 진행하고 있어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훼손되고 여러 가지 논란에 휩싸여 있습니다.

테슬라 국내 서비스센터 부족

테슬라 고객통지문
테슬라 서비스센터

 

 

Tesla Service Centers in South Korea | Tesla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Tesla 차량 시승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www.tesla.com

국내에는 테슬라 공식 서비스센터가 9곳이 있으며 그중 3곳이 서울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2020년 상반기에만 판매된 차량 대수인 1만 4082대에 비해 서비스 인프라가 매우 부족합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실시한 리콜 조치 명령에도 수리가 완료된 비율은 70%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자동차 리콜 센터로부터 제공받은 통계에 따르면, 2020년 5월에 플래시 메모리 장치 결함으로 리콜이 시작된 모델 S에 대해서는 같은 해 9월까지 398대(70.9%)만 수리가 이루어졌다고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지난해 6월에 리콜이 진행된 모델 3의 브레이크 캘리퍼 고정장치 문제에 대해서는 시정 조치가 완료된 차량은 350대(67.8%)에 불과합니다. 결함 신고도 증가하는 추세이며, 2021년 10월까지 접수된 결함 신고만 총 123건으로, 2020년에 비해 약 9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테슬라의 OTA 원격 리콜

테슬라 리콜
테슬라 리콜 안내

다른 자동차 제조사와는 달리, 테슬라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결함을 수정해 왔습니다. 테슬라는 2012년부터 상용화된 최초의 'OTA(Over the Air)'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원격 리콜'을 시행해 왔습니다. 이는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업데이트 방식으로 리콜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거의 필요하지 않습니다. 소비자들은 정비소나 공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2~3일 동안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리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테슬라는 소비자들의 불만을 완화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지난 2월에도 테슬라는 운전자 보조 기능인 완전자율주행(FSD·Full Self-Driving) 결함으로 36만 대 이상의 전기차를 원격 리콜했습니다.

마무리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은 테슬라가 오토파일럿 기능을 실제 기능 이상으로 과대포장해서 홍보한 것은 아닌지 조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번 리콜 이후에도 도로 안전 당국 및 다른 규제 당국들은 테슬라에 대한 조사를 계속 진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NHTSA는 계속해서 도로 위의 자동차 안전을 평가하여 불만 사항과 문제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앞으로도 전기차 시장을 석권하기 위해 이러한 문제들에 합리적인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기차 배터리 교환 가격은 얼마 일까?

전기차 배터리를 교환하는 가격은 얼마일까요? 전기차의 배터리 가격은 배터리 팩의 종류와 구성,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얼마 전 미국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가격을

thesea76.tistory.com

 

 

테슬라 모델 2(Model 2) 예상도, 스파이샷, 알려진 것들

Tesla가 앞으로 출시할 Model 2는 잠재적으로 $25,000~$30,000 사이의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한 옵션을 제공하여 Nissan Leaf 및 Chevrolet Bolt EV와 같은 다른 저가형 전기 자동차의 강력한 경쟁자가

thesea76.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