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정보

사모펀드 PEF와 벤처캐피탈 VC의 특징과 차이점

by 궤적76 2023. 11. 30.
반응형

투자를 하신다면 사모펀드와 벤처캐피탈이라는 용어를 한 번쯤은 들어 보셨을 텐데요. 금융권에서 그들만의 리그로 불리며 잘 알려지지 않은 사모펀드 PEF와 벤처캐피탈 VC의 특징 및 공통점 그리고 차이점에 대해 쉽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시작합니다.

사모펀드 PEF 벤처캐피탈 VC

PEF와 VC 정의

PEF란
벤처캐피탈 VC

먼저 사모펀드 PEF란? Private Equity Fund의 앞 글자로 사모펀드는 사모 투자 전문회사로 운용사가 비공개적으로 투자자들을 모집하여 그들로부터 장기자금을 조달한 다음에 저평가 기업 등에 투자를 해서 고수익을 추구하는 펀드를 의미합니다. 그럼, 벤처캐피탈 VC는? Venture Capital 혹은 편하게 VC는 고도의 기술력과 장래성은 있는데, 경영기반이 약해서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차입을 받기 어려운 벤처기업에게 무담보 주식 형태로 투자하는 기업이나 기업의 자본을 의미합니다.

PEF와 VC 특징 및 공통점

투자자 LP 운용사 GP
PEF와 Vc의 수익 창출

사모펀드 PEF와 VC의 수익구조는 기본적으로 유사합니다. PEF와 VC는 크게 투자자, LP라고 불리는 Limited Partnership이죠. LP와 좋은 투자건을 운용하는 사람들, GP General Partnership이 있는데, 펀드를 운용하는 GP는 크게 두 가지를 통해서 수익을 창출하게 됩니다. 첫 번째는 펀드 운용에 대한 운용 수수료이고 두 번째는 펀드 초과 수익률에 대한 성과 수수료입니다.

 

첫 번째 펀드 운용에 대한 운용 수수료에 관해 설명을 해드리자면 PEF와 VC는 운용사와 마찬가지로 자산 운용에 대한 운용 수수료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즉 펀드를 운용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펀드 규모의 약 1%에서 2.5%의 운용 수수료를 가져갑니다. 이것이 일차적인 수익입니다.

 

다음으로 성과 수수료가 있습니다. 운용 성과가 특정 기준 이상이라면, 즉 약정된 최소 요구 수익률을 상회하는 성과를 냈을 때 초과 수익을 펀드에서 수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기준수익률이 6%에서 8%라고 정해졌다고 가정했을 때 이 기준수익률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20% 정도의 성과보수를 책정하는 식입니다.

PEF와 VC의 차이점

사모펀드 뉴스
벤처캐피탈 뉴스

그렇다면 유사해 보이는 PEF 와 VC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PEF와 VC는 기업에 투자하고 특히 개인 소유 회사 지분에 투자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투자 대상과 전략에는 차이가 존재합니다. 먼저 벤처캐피탈은 사업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는 기업을 상대로 투자를 진행합니다. 예를 들어, 스타트업 초기 단계 회사이거나 혹은 이보다 성장 단계가 조금 있는 기업에 주로 투자합니다. 하지만 전망이 불확실하다는 단점 때문에 작은 규모로 다양한 기업에 투자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반면에 사모펀드 PEF는 어느 정도 성장을 했다고 볼 수 있는 중소기업 이상의 기업에 주로 투자를 하고 투자 규모 역시 경영권에 참여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내 대표적인 사모펀드 기업의 인수 사례를 보면 향후 재매각을 목적으로 자금이 필요한 기업의 경영권을 획득할 수 있는 규모로 투자를 합니다. 그리고 회사를 정상화시킨 다음에 재매각했던 사례가 있습니다. 또한 투자 대상은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이 많지만 시가총액 1조 원이 넘는 기업의 인수를 시도하기도 합니다.

 

VC의 경우는 인큐베이팅 혹은 엑셀러레이팅이라고 해서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멘토링을 해주는 프로그램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기업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면 좋을지 전략적으로 접근하여 도움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PEF 사모펀드에서는 이러한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어느 정도 기반이 안정된 기업들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높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피인수 기업의 작업 능률을 올릴 수 있는 다양한 구조조정 및 전략을 수행하여 경영 효율화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무리

따라서 차이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면 투자 기업의 규모 차이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의 유무 차이 정도로 이해하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렇게 이번 시간에는 PEF와 VC의 의미, 특징 그리고 공통점 및 차이점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로 인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당권 질권 근저당권 근질권 5분 정리

이번 글에서는 저당권과 질권, 근저당권, 근질권에 대한 개념을 쉽고 빠르게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으시는 경우 분명히 언급한 네 가지 단어 중 하나는 들

thesea76.tistory.com

 

 

CPI란? 인플레이션 CPI 금리 통화정책 주식의 상관관계

주식을 하시고 경제에 관심 있으신 분들이라면 아마 많이 들어보셨을 CPI에 관해서 얘기해 보려고 해요. 뉴스를 보시면, 여기저기서 많이 들어보셨을 용어일 텐데요. 그래서 저거 대충 뭔지 아는

thesea76.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