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한국에 없는 피아트토폴리노 닛산사쿠라 메간E-테크 폭스바겐 ID. 버즈

by 궤적76 2024. 1. 31.
반응형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도 전동화 속도가 빠른 나라 중 하나입니다. 2022년 기준 전체 신차 판매량에서 전기차 비중은 9.8%로, 미국(5.6%)이나 이탈리아(4%) 보다 빠르며 세계평균(10%)에 근접한 수준입니다. 다양한 소비자들이 전기차에 관심을 가지면서 국내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전기차 종류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도로에서 볼 수 있을까

소형차 위주였던 한국 전기차 시장에서는 이제 초소형 전기차부터 고급 승용차, SUV, 스포츠 세단, 상용차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라인업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세계 각지에서 우후죽순 쏟아지는 새로운 전기차 중 여전히 한국에선 볼 수 없는 차들이 적지 않은데요. 그래서 우리나라에 꼭 들어왔으면 하는 전기차 7대 중에 먼저 4대를 소개합니다. 가장 작고 저렴한 전기차부터 수십억 원대를 호가하는 슈퍼카까지 정리했으니, 순서대로 즐겨주시기 바랍니다. 

피아트 토폴리노

피아트 토플리노 전기차
피아트 토플리노 전기차 측면
피아트 토플리노 좌석
피아트 토플리노
  • 모든 이미지는 클릭하시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소개할 차는 피아트의 작고 귀여운 전기차, 토플리노입니다. '토플리노 topolino'는 이탈리아어로 작은 생쥐를 의미하는데요. 1936년 출시된 피아트의 2인승 대중차, 1세대 500의 별명에서 따 온 이름입니다. 사실 토폴리노는 자유롭게 고속도로를 달릴 수 있는 전기차는 아닙니다. 최고속도가 45km/h에 불과한 저속 전기차이기 때문인데요. 고속 주행이 불가능한 대신 전장 2.5m에 불과한 차체는 유럽의 복잡한 골목길을 헤집고 다니기엔 충분합니다. 4시간만 충전해도 최대 75km를 달릴 수 있으니 하루종일 시내 여행을 즐기기엔 충분하겠지요.

 

같은 스텔란티스 산하의 시트로엥 '아미 Ami'를 기반으로 만든 차량이지만, 토플리노는 피아트 고유의 디자인 아이덴티티와 재미있는 아이디어가 가득해서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넓은 수납공간과 보온병, 비치 타올로 쓸 수 있는 시트커버와 차체에 묶을 수 있는 트렁크 가방도 있죠. 개방형 차체를 선택하면 도어 대신 밧줄을 달고 캔버스 지붕을 돌돌 말아 열 수도 있답니다. 이 정도면 조금 느려도 한 번쯤 궁금해지지 않나요. 대체 어떤 차일까?

닛산 사쿠라

닛산 사쿠라
닛산 사쿠라 1열
닛산 사쿠라 전면
닛산 사쿠라 후면

얼마 전 국내에서 기아 레이 EV가 출시되며 경형 전기차가 부활했지만, 경차의 왕국 일본에서 대박을 친 닛산 사쿠라의 인기에 비할 바는 아닙니다. 2022년 출시된 사쿠라는 일본 최초의 순수 전기 경차로, 일본 올해의 차로선정될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사쿠라의 외형은 전형적인 톨보이(tall boy) 타입의 경차 형태입니다. 박스형 차체로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톨보이(tall boy): 전장에 비해 비교적 높은 전고로 독특한 인상을 주는 스타일로 국내에서 레이를 생각하면 됩니다.

 

작은 차체는 일본의 좁은 도로 환경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시트를 폴딩해 다양한 공간 구성이 가능합니다. 성능 또한 일본 경차 기준에 맞춰 최고출력은 64마력이며, 20 kWh 배터리 완충 시 주행거리는 WLTC 기준으로 180km입니다. 사쿠라는 우수한 상품성과 가성비를 두루 갖췄는데요. 자동 주차 기능과 커넥티비티 기능, 드라이브 모드 셀렉터와 원페달 드라이빙이 가능한 회생제동 시스템을 갖추었습니다. 

 

일본에서 전기차 보조금 수령 시 최저 178만 엔(한화 약 1600만 원)부터 구매가 가능한데요. 레이 EV가 국내 기준 보조금 수령 시 2000만 원대 초반부터 구매 가능하니 그보다도 훨씬 저렴한 셈이죠. 어쩌면 한국에서도 1000만 원대에 구매할 수 있다면 저렴하고 실용적인 전기차를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충분히 지갑을 열게 할 매력이 있지 않을까요?

르노 메간 E-테크

르노 메간 E-테크
르노 메간 E-테크 전기차
르노 메간 E-테크 측면
르노 메간 E-테크 후면

이제는 조금 더 현실적인 전기차를 살펴보겠습니다. 르노 메간 E-테크는 르노의 대표 준중형 모델, 메간의 이름을 그대로 따 온 전기차입니다. 2020년 공개된 르노 e비전 콘셉트카의 양산 버전인데요. 전기모터는 129마력, 215마력 등 두 종류가 제공되며, 배터리 또한 40 kWh, 60 kWh 등 두 종류의 라인업으로 출시되었습니다. 기본형 모델은 WLTP 기준 1회 충전으로 300km를, 가장 상위 모델은 470km 주행이 가능합니다. 

르노 메간 E-테크 대시보드
르노 메간 E-테크 1열

26가지 ADAS 장비를 갖춰 레벨 2 수준의 반자율주행이 가능하며, 디자인과 상품성 측면에서도 호평이 이어졌죠. 혹시라도 우리나라에서 출시된다면 더 업그레이드되지 않을까 추측해 봅니다. 르노 메간 E-테크는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시장에서도 지속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르노코리아를 통해 수입, 출시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데요. 유럽 스타일의 크로스오버 전기차를 원하는 분들에게 반가운 소식을 전해줄지 긷려 보겠습니다.

폭스바겐 ID. 버즈

폭스바겐 ID. 버즈
폭스바겐 ID. 버즈 후면
폭스바겐 ID. 버즈 핸들

전기 미니밴을 원한다면 폭스바겐의 매력적인 ID. 버즈는 어떨까요? 전기차 전용 MEB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ID. 버즈는 전설적인 폭스바겐 마이크로버스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전기 모델입니다. 원박스에 가까운 차체와 큼직한 로고, 투톤 컬러 등에서 마이크로버스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데요. ID. 버즈는 5인승 승용 미니밴과 상용 카고밴 등 두 종류가 존재하며, 더 긴 차체를 지닌 7인승 롱휠베이스(LWB) 모델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폭스바겐 ID. 버즈 좌석
폭스바겐 ID. 버즈 트렁크

201마력의 후륜구동 모델을 기본으로 286마력 후륜구동 버전과 출시를 알린 339마력의 4륜구동 GTX 모델 등으로 구성됩니다. 배터리는 SWB 모델이 83 kWh, LWB 모델이 91 kWh 용량을 제공합니다. LWB 모델은 EPA 기준 1회 충전 시 406km ~ 418km 주행이 가능합니다. 30여 분만에 50 ~ 80% 충전이 가능한 급속 충전을 지원하며, V2X 기능으로 가전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습니다. 전기 캠핑카로 사용한다면 이 보다 더 좋은 파트너가 있을까요?

마무리

오늘은 현재까지 한국에서 볼 수 없는 전기차 7대 중에서 4대를 먼저 소개해 보았습니다. 초소형차에서 시작해서 중형까지 왔으니 다음번에는 조금 더 큰 전기차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오늘 소개한 차량 중에서 여러분은 어떤 차에 눈길이 가시나요? 어쩌면 우리나라에서 영원히 볼 수 없는 차도 있겠지만 곧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전기차도 있겠죠. 준비한 글을 여기까지 이고 읽어 주셔서 늘 감사합니다.

 

 

 

2024년에 출시될 국산 자동차는? 현대/기아/KG모빌리티

2024년에 출시될 자동차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2023년이 끝나기까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연말이 가까워질수록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커지는 관심사가 하나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내년에

thesea76.tistory.com

 

 

2024년 출시 예정 전기 자동차 1편

많은 기업이 아직 전기 자동차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지만 자동차 제조업체는 점차적으로 전환을 진행하고 있으며 몇 년 후에는 상황이 매우 달라질 것입니다. 머슬 EV부터 3열 SUV까지 2024년에 나

thesea76.tistory.com

 

 

현대차·기아 레몬마켓 중고차 시장 진출 신뢰 회복을 통한 거래이끌까?

현대자동차가 중고차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죠.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출을 두고 그간 말들이 참 많았는데 사고팔고 해 본 사람만 안다는 우리나라 중고차 시장의 불신과 정보 불균형의

thesea76.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