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정보

서울 부자 보고서 / 서울 부자들의 자산과 소득에 대한 분석

by 궤적76 2023. 11. 11.
반응형

우리나라에서 부의 상징하면 떠오르는 곳은 바로 강남이죠. 서울에 살지 않아도 강남 혹은 강남 3구라는 말은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 강남 3구가 위치한 곳이 바로 서울이고 흔히 말하는 부자가 가장 많은 곳 역시 서울입니다.

부자보고서 서울 부자

그렇다면 과연 서울에 사는 부자들은 어떻게 부를 이루었는지 그리고 어느 정도의 부를 보유하고 있는지 등이 궁금해지는데요. 얼마 전에 금융자산 10억 이상을 가진 한국 부자들에 대한 보도 자료가 있었는데요. 여기서 좀 더 범위를 좁혀서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서울, 이 서울의 부자들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서울 부자의 평균 총 자산

우리금융그룹 서울 부자 보고서

 우리 금융경영연구소 보고서 '서울 부자'
서울 부자의 평균 총자산 67억 9041만 원
서울 부자의 평균 순자산 61억 9000만 원

얼마 전에 우리 금융경영연구소에서 기획보고서로 서울 부자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는데요. 보고서에서 정의하는 서울 부자란 서울 거주하는 만 30세 이상의 금융자산 10억 이상의 보유자를 의미합니다. KB 연구소에서 발간한 부자보고서에 금융자산 10억 이상을 보유한다는 부자의 정의와 비슷하네요. 서울 부자의 평균 총자산은 67억 9041만 원이며 임대보증금과 금융부채 6억 7000만 원을 제외한 순자산은 61억 9000만 원 수준으로 나타났어요. 와 정말 엄청난 금액의 자산 규모네요. 자산 구성을 살펴보면 부동산이 59.3%, 금융자산이 36%, 차량 등 실물자산이 4.7%로 금융자산의 1.65배 수준의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서울 부자의 자산별 규모

서울 부자의 금융자산 구성
대중부유층의 금융자산 구성
 자산 규모별 분류
10억에서 50억 미만 33.7%
50억에서 70억 원 미만 31.3%
70억 원 이상 35%

총 자산 규모별로 살펴보면 10억에서 50억 미만이 33.7%, 50억에서 70억 원 미만이 31.3%이며, 70억 원 이상이 35%로 구성되어 있네요. 이들 서울 부자들의 금융 자산은 평균 22억 6000만 원 정도이며 예·적금 29.5%, 수시 입출금 21.5%, 주식 18.5%, 개인연금 9%, 저축성 보험 8.3%로 예·적금 등 안전자산의 비중이 51%, 직 간접투자의 비중은 31.7%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부동산 자산 구성
부동산 보유 개수

서울 부자들은 거주 주택을 포함해서 평균 3.3 채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으며 부동산 자산 중에서 거주 주택의 비중이 62.4%로 나왔습니다. 특히나 서울 부자 중에서도 강남 3구 거주자의 경우, 주택 가격이 만만치 않은 만큼 거주 주택의 비중이 높았는데요. 강남 부자의 경우 부동산 중에 거주 주택 비중이 66.9%인데 반해서 비강남 부자들의 거주 주택 비중은 58%였으며, 강남 부자와 비강남 부자의 부동산 자산 차이도 약 9.5억이나 났는데, 이는 주택 가격의 차이 때문인 걸로 보입니다.

서울 부자의 소득

소득 구성
가구주 직업 구성
 서울 부자의 소득 구성
사업소득 58.7%
부동산 소득 14.6%
근로소득 14.1%
금융 소득 8.3%

다음으로, 서울 부자의 소득과 소비 생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서울 부자의 연평균 소득은 3억 2604만 원이며 다른 계층과는 달리 근로소득보다 사업소득의 비중이 58.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부동산 소득 14.6%, 근로소득 14.1%, 금융소득 8.3% 순위였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전체 가구 소득을 보면 근로소득이 64.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강남 부자와 비강남 부자의 소득 규모를 살펴보면 강남 부자는 3억 5312만 원, 비강남 부자는 2억 9967만 원으로 강남 부자가 비강남 부자보다 약 5000만 원 정도 많고 사업소득 비중도 강남 부자가 더 높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서울 부자의 소비

연간 지출액 구성
소득규모별 소비성 지출 규모와 비중

서울 부자들은 연 소득의 약 79.5%인 2억 5928만 원을 지출하며, 지출 구성을 살펴보면 의식주 관련된 소비와 여가를 위한 소비인 소비성 지출 37.6% 약 9700만 원, 예·적금, 보험 등 저축이 30.4% 약 7800만 원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강남 부자와 비강남 부자 상관없이 고급 식당, 럭셔리 제품 구입 등 여유로운 생활을 위한 부가적인 지출을 할 때는 고급 백화점이나 숍이 많은 강남 3구에서 주로 소비 활동을 하는 걸로 나타났어요.

서울 부자는 어떻게 자산을 형성했나

거주지역별 부동산 자산 구성
거주 외 부동산 종류별 보유율과 평가액
서울 부자의 자산 
사업소득 37%
근로소득 20.4%
증여 상속 24%

그러면 이런 서울 부자들은 어떻게 자산 형성을 했을까요? 서울 부자들의 평균 시드머니는 7억 5412만 원이었고 가장 큰 원천은 사업소득으로 37%, 근로소득이 20.4% 그리고 증여·상속받은 자산이 24%를 차지했습니다. 서울 부자의 80% 이상이 시드머니 형성에 두 가지 이상의 자금 원천을 활용했다고 해요. 이들은 이런 시드머니를 바탕으로 평균 46세에 금융자산 10억을 축적해서 부자 요건을 달성했습니다. 금융자산 10억을 축적하는 데 가장 큰 원천은 사업 소득이 39%, 부동산 투자가 21%, 증여 상속이 18%를 차지했고, 부자 계층에 도달하는 시간은 평균 11년이었습니다. 금융자산과 마찬가지로 현재 총자산을 이루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한 항목 역시 사업소득으로 38.7%를 차지했고, 그다음이 부동산 투자로 25%, 증여 상속이 21.7%, 근로소득이 8.7%를 차지했어요.

마무리

(20230620) 더 리치 서울 - 2023년 서울 부자 보고서 - 우리금융경영연구소.pdf
1.25MB

 

그리고 서울 부자들의 부의 증식 원천 중에 부동산 투자가 사업소득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들 서울 부자들은 평균 38세 첫 부동산을 소유했으며 시기를 보면 호황기보다는 불황기에 부동산 취득을 한 비중이 더 높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성공하려면 대중이 가는 길은 가지 않는다. 대중과 반대로 간다. 이런 말을 잘 실천한 것 같아요. 지금까지 우리 금융경영연구소의 서울 부자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서울 부자들의 현황을 간략하게 살펴봤습니다. 보고서를 첨부하니 궁금한 사항은 직접 살펴보시면서 공부해 보세요.

 

 

 

2023년 대한민국 부자 TOP 11 / 1위는 누구?

2022년 한국 부자 1위는 이재용과 김범수가 순위를 놓고 다투는 분위기였습니다. 그런데 최근 세간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들이 10위권 안에 처음 등장하더니, 1위까지 오르며 부의 판도를 변화

thesea76.tistory.com

 

 

8대 전문직 연봉과 초봉, 직업 만족도

8대 전문직 연봉과 만족도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선 대한민국 8대 전문직이 무엇인지 빠르게 알아볼까요? 문과 8대 전문직으로도 불리는 이 8개 전문직은 변호사, 공인회계사, 변리사,

thesea76.tistory.com

 

 

2024년 기준 중위소득과 급여별 선정기준이 변경됩니다.

정말 반가운 소식이 있어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내년에는 훨씬 더 많은 국민들이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부터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평생교육 바우처 등 13개 정

thesea76.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