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정보

한미약품 OCI 통합 경영권 분쟁 한미사이언스 주총 28일 지분율은?

by 궤적76 2024. 3. 26.
반응형

한미약품 그룹 내의 경영권 분쟁이 최근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데,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 분쟁의 중심에는 한미약품 창업주의 미망인인 송영숙 회장이 있습니다. 송 회장은 남편이 사망하기 전까지 경영인보다는 사진작가로 더 유명했습니다.

한미 OCI 통합 주주총회

모자간의 경영권 분쟁

기업 경영은 남편인 임성기 회장과 두 아들과 딸이 참여했었습니다. 그러나 남편이 타계하고 본인이 직접 ‘회장’에 취임해 주변을 놀라게 했습니다. 취임 당시만 해도 두 아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주기 위한 가교 구실을 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습니다. 그러다 최근 한미약품을 OCI그룹에 통합하겠다고 발표함으로써 재계를 다시 한번 놀라게 했습니다. 모친의 전격적인 발표에 두 아들이 반기를 들면서 ‘모자간의 경영권 분쟁’으로까지 번지고 있는 양상입니다. 한미약품 그룹의 모자간 경영권 분쟁 내막과 전망 등을 분석해 봅니다.

임성기 약국으로 출발

임성기 약국
한미약품 아모디핀
한미약품 에소메졸

한미약품은 임성기 회장이 1967년 서울 종로에 ‘임성기 약국’을 설립하면서 시작됩니다. 1940년 경기도 김포 출신인 임 회장은 중앙대 약대를 졸업하고 자신의 이름을 딴 임성기 약국을 열었습니다. 그 당시 약국은 의사 처방 없이 직접 조제했기 때문에 사실상 동네 의료기관이나 다름없었습니다. 임 회장은 국내 약사 최초로 하얀 가운을 입고 직접 환자를 면담하는 방식으로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때는 월남전이 한창이라 성병약이 잘 팔리던 시절이었습니다. 개별 상담을 통해 성병치료제를 조제해주면서 입소문이 나기 시작해 임성기 약국은 그야말로 호황을 누렸습니다.

 

서울 시내 3대 약국으로 소문날 정도로 대성공을 거뒀습니다. 이에 자신을 얻은 그는 직접 제약회사를 만들어 약을 생산하겠다는 마음을 먹고 실천에 옮겼습니다. 이때가 1973년이었습니다. 한미약품의 탄생은 이렇게 이뤄졌습니다. 한미약품 역시 복제약을 만들어서 파는 ‘제너릭’ 의약품이 주종이었습니다. 제너릭 의약품은 특허기간이 끝난 해외 의약품을 복제해서 만드는 약입니다. 신약을 개발한다는 것은 그 당시에는 엄두도 내지 못할 만큼 거대한 장벽이었습니다.

 

1990년대 이후 임 회장은 결단하게 됩니다. 신약에 대한 도전입니다. 매년 매출의 10%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하기 시작했습니다. 첫 결실은 2000년에 나왔습니다. 국내 최초의 개량 신약인 아모디핀을 선보인 것입니다. 이 신약이 나오자 일부에선 제너릭과 뭐가 다르냐는 비아냥도 나왔습니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다른 제약회사들도 신약 경쟁에 나서게 됐습니다. 한마디로 국내 제약회사들을 신약 개발에 나서게 선도 역할을 한 것입니다. 2013년엔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인 ‘에소메졸’이 처음으로 미국 시판 허가를 받는 쾌거를 이룹니다. 국내 개량 신약 가운데는 처음입니다. 한미약품은 세계적 제약회사인 베링거인겔하임 얀센 등에 기술 수출을 할 정도로 발전했습니다.

임성기 회장 타계

한미 그룹 송영숙 회장
한미사이언스 임종윤 대표

한미약품의 주가도 폭등했음은 물론입니다. 한때 임성기 회장은 우리나라 주식 부호 7위에 랭크될 정도로 재벌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2020년 8월 임 회장은 80세를 일기로 영면하고 맙니다. 암진단을 받았지만 그렇게 중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변에 따르면 임 회장은 건강에 대한 자신을 갖고 있었고 암도 극복할 수 있다고 피력하고 다녔습니다. 그렇게 수술을 했지만 회복하지 못하고 타계하고 말았습니다. 이때 언론은 제약업계의 큰 별이 지다라는 추모 글로 추앙했습니다.

 

임 회장이 별세하면서 이목은 후계자는 어떻게 할 것인가에 쏠리기 시작했습니다. 갑작스러운 별세라 후계 문제나 주식 지분 등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입니다. 그 당시에는 장남이 지주회사 격인 한미사이언스 대표를 맡고 있어 장남이 회장에 취임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얼마 뒤 그룹 회장으로 미망인인 송영숙 여사가 취임한다고 발표하며 재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미망인들도 종종 그룹 경영권을 물려받은 적은 있지만 이런 기업은 대부분 아들이 어렸거나 집안 사정이 복잡한 곳에서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비록 송 회장이 취임하더라도 상속 문제를 해결하면 자연스럽게 아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습니다.

OCI와 합병

한미그룹 OCI 통합
한미약품 경영권 분쟁 뉴스

어쨌든 송 회장은 남편이 타계하고 얼마 안 돼 회장으로 취임해 경영에 임하다 최근 들어 대기업인 OCI와 통합하겠다고 전격 선언함으로써 다시 한번 재계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엄마가 한미약품을 OCI와 통합해 신약 개발의 시너지를 높이고 한미약품을 글로벌 제약 회사로 키우는 역할을 하겠다고 선언하자 장남과 차남이 반기를 들었습니다. OCI와의 통합 결정 과정에서 배제된 형제가 한미사이언스 이사회를 통해 경영에 복귀해 통합을 저지하겠다며 주총 소집을 요구하고 나선 것입니다. 두 형제의 경영 복귀 선언에 그룹 측은 진정성이 의심된다는 취지의 보도자료를 통해 이들의 행보를 비판하고 나섰습니다.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

장남인 임종윤 사장은 지난 10년간 한미에 거의 출근하지 않았을뿐더러 그가 사내 이사로 있는 한미약품 이사회에도 한 차례만 출석하는 등 한미약품 경영에 무관심했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임종윤 사장은 한미약품과 무관한 개인 회사를 운영한 것은 사실입니다. 임산부 용품 제조와 산후조리 사업을 영위하는 코리그룹과 코스닥 상장회사인 DX&VX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들 회사의 영업 상태가 그렇게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게 재계의 시각입니다. 모친과 그룹 측은 이 회사의 건전성 문제를 놓고 임종윤 사장이 사적 욕심을 위해 한미를 이용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하기도 합니다. 임 사장 측은 개인 목적을 위해 한미를 이용한다는 것은 심각한 정보 왜곡이며 명예훼손의 여지가 있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결국 모자간 경영권 분쟁은 주총에서 판가름 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미사이언스 주총은 오는 28일입니다.

신동국 회장 한미사이언스 지분 12.1%

한미약품 지분
한양정밀 신동국 회장

현재 특수 관계인 포함 임종윤, 종훈 형제 지분은 28.4%로 알려졌습니다. 반면 송영숙 회장과 딸인 임주현 사장의 지분은 27.7%이지만 공익재단인 가현문화재단의 4.9%와 임성기 재단 3%를 합칠 경우 형제의 지분을 크게 앞서게 됩니다. 두 형제는 이들 재단이 주총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강하게 주장하고 있습니다. 결국 캐스팅보트는 임성기 회장의 고향 후배인 한양정밀 신동국 회장이 쥐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신동국 회장은 한미사이언스 지분 12.1%를 소유, 개인 2대 주주로 등재돼 있습니다. 최근에 뉴스를 보면 신 회장은 임종윤, 종훈 형제의 편에 섰습니다. 임성기 회장과 절친한 관계로 한미약품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길이 어떤 것인가를 판단하고 주권을 행사한 것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주식 가치가 높아야 신 회장한테도 이득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송영숙 회장 자녀

이처럼 경영권을 놓고 모자가 대립하자 재계에선 의아해하고 있습니다. 보통 가족 간 재산 분쟁은 이복형제와 같은 복잡한 집안 내력이나 경영 능력이 없는 장남이 경영권을 차지하려고 할 때 생기는데, 한미약품 그룹은 그런 상황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입니다. 임성기 창업 회장은 송영숙 회장과의 사이에 2남 1녀를 둬 복잡하지도 않았습니다. 살아생전에 장남을 지주회사 격인 한미사이언스 대표로 선임하며 나름대로 후계 수업을 시키기도 했습니다. 한미약품으로 입사해 부친 밑에서 착실하게 경영수업을 받고 한때 중국 사업을 총괄하기도 했습니다.

한미약품 주주총회
한미약품 전자투표

모친과 여동생인 임주현 사장이 한미약품을 OCI에 통합하겠다고 선언한 이유에 대해 주변에선 임성기 회장이 생전에 후계 구도에 대한 정확한 정리를 하지 않고 작고함에 따라 막대한 상속세를 내는 데 대한 부담이 작용한 것 아닌가 하는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송 회장이 아들이 아닌 딸을 후계자로 세운 것에 대한 여러 가지 뒷말이 나오고 있기도 합니다. 보통의 엄마는 딸보다 아들을 후계자로 삼는데 송영숙 회장은 두 아들을 제치고 딸을 선택한 이유가 궁금하다는 해석입니다.

마무리

어쨌든 한미약품의 향배는 곧 있을 주주총회에서 정리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OCI에 통합이 되든 장남이 경영권을 되찾아 오든 재벌가 분쟁의 한 사례로 남을 것임은 틀림없을 것 같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네이버주식 치지직 포쉬마크 왓패드 서치플랫폼 네이버페이 커머스 웹툰

국내 인터넷 대표주식인 네이버에 대한 글을 준비해 봤습니다. 어제 자 기사로 네이버가 일본 E-커머서 시장에서 철수한다는 기사가 났는데요. 9200만 사용자를 확보한 일본의 국민 메신저 '라인'

trajectory.tistory.com

 

 

워렌버핏 포트폴리오에서 배당 성장주 5가지 BAC AXP KO CVX MCO

미국 배당 성장주 중에서 워렌 버핏이 투자하고 있는 배당 성장주 5개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작년 4분기 기준 워런 버핏의 포트폴리오를 보면 애플의 비중이 50%로 가장 높고 뱅크 오브 아메리

trajectory.tistory.com

 

JYP엔터 고덕강일지구 고덕비즈밸리 공공택지 낙찰 신사옥 이전 준비

얼마 전 유튜브 채널에 JYP가 출연해 고덕동 신사옥을 언급했습니다. 궁금해서 정보를 찾아봤는데요. 'JYP엔터 서울 고덕강일지구 토지 755억 원에 매입'이라는 보도 기사가 이미 많이 올라왔더라

thesea76.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