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정보

월배당 ETF 종류와 분배율, 분배금으로 알아보는 ETF

by 궤적76 2023. 7. 22.
반응형

국내 상장되어있는 월배당 ETF를 유형별로 예상 배당 수익률별로 빠르게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몇 년 전만 해도 월배당 ETF에 대한 관심이 극히 제한적이었어요. 미국 주식이나 ETF를 직접 매매하시는 분들 사이에서 리얼티인컴이나 QYLD, JEPI 같은 월분배 ETF가 관심을 받긴 했었는데 진짜 미미한 수준이었죠.

월배당 ETF 정리

월배당 ETF 수요가 많아진 이유

그런데 최근 1년 월배당 ETF에 대한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많이 높아졌고 국내 자산운용사들도 경쟁적으로 관련 상품들을 내놓으면서 투자자들의 선택 폭도 상당히 넓어졌습니다. 월배당 ETF 대한 수요가 많아진 이유에 대해서는 정기적인 현금흐름을 만들고자 하는 수요가 커졌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하는데 제 생각에는 사실 그런 수요는 과거에도 많았습니다. 채권에 직접 투자해서 이자를 받거나 오피스텔에 투자해서 월세를 받는다거나 하는 등의 투자는 오래전부터 있었잖아요. 정기적인 인컴에 대한 니즈를 가진 분들은 많았는데 이런 분들이 ETF를 대안으로 생각하지를 않았습니다.

국내 상장 ETF 현황(2023년 7월 11일 기준)
구분 종목수 비중
대표지수 추종 4 12.5%
리츠 5 15.6%
배당주 7 21.9%
채권 7 21.9%
커버드콜 7 21.9%
혼합형 2 6.3%
합계 32 100.0%

월배당 ETF 인기가 늘어난 진짜 이유는 ETF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기 때문인 것 같아요. ETF는 주식이라는 고정관념이 아직도 있어서 노후 준비를 ETF로 한다는 것 자체를 큰일 날 소리처럼 여기는 분들이 많습니다. 물론 지금도 그런 분들이 많긴 한데 최근 몇 년 사이에 ETF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었죠. 인식 전환의 배경은 해외 ETF 직구가 일반화되면서부터인 것 같습니다. 미국은 배당주나 인컴형 ETF를 활용해서 노후 준비를 하고 또 노후를 보내는 것이 굉장히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투자 문화가 오랫동안 정착이 되어 있다 보니까 미국에는 배당주 ETF를 비롯한 인컴형 ETF가 정말 많고요. 국내 투자자들이 리얼티인컴이나 SCHD 같은 ETF를 접하면서 ETF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뀐 것 같습니다. 미국의 인컴형 ETF를 벤치마킹해서 국내에도 다양한 월배당 ETF가 나오고 있어요. 애초에 월배당을 목표로 만들어진 ETF가 새롭게 상장을 하기도 하고요. 기존에 상장한 ETF 중에서 월 분배형으로 전환해도 괜찮겠다 싶은 ETF들은 월배당 ETF로 전환하고 있죠. 7월 11일 기준 월배당 ETF는 총 32종목입니다. 월배당 ETF를 유형별로 임의로 나눠봤습니다.

대표지수를 추종하는 주식형 ETF

배당금액별 세금

대표지수 추종 ETF 비고
KBSTAR 미국S&P500(H) S&P500
SOL 미국S&P500 S&P500
TIGER 미국다우존스30 다우존스산업지수
WOORI200 KOSPI200

결국 분배할 재원이 있어야 하므로 월배당 ETF의 대부분은 인컴형 자산에 투자하는 ETF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식을 보유하면 배당을 주죠. 주식의 현금배당을 재원으로 월배당을 하는 ETF가 있어요. 대표지수를 추종하는 주식형 ETF 중에는 S&P500 ETF 가 두 종목이 있고요. 다우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한 종목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조금 납득이 가지 않는 것이 바로 코스피 200 ETF인 WOORI200인데, 국내 상장 종목은 아직 분기 배당을 실시하는 종목도 거의 없거든요. 그런데 매월 배당을 쪼개서 준다고 하니까 조금 의아하긴 합니다.

배당주에 투자하는 ETF

배당주에 투자하는 ETF 비고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SCHD
KBSTAR 미국S&P배당킹 50년 연속 배당성장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SCHD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SCHD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25년 연속 배당성장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SCHD
TIMEFOLIO korea 플러스배당액티브 국내 배당주

같은 주식인데 대표지수가 아닌 배당주에 투자하는 ETF들이 있습니다. 대표지수보다는 당연히 배당률이 조금 더 높겠죠. 배당주 ETF 중에서는 TIMEFOLIO korea 플러스배당액티브가 유일한 국내 배당주 ETF이고 나머지는 모두 미국 배당주에 투자하는 ETF예요. 6개의 미국 배당주 ETF 중에 4개가 SCHD와 동일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ETF이니까 숫자는 많아 보이는데 실질적으로는 배당주 ETF는 4개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커버드콜 ETF

커버드콜 ETF 비고
KBSTAR 미국배당프리미엄액티브 KOSPI200 고배당+ATM 콜옵션 매도
KODEX 미국배당프리미엄액티브 커버드콜
TIGER 200커버드콜5%OTM KOSPI200+OTM 콜옵션 매도
TIGER 200커버드콜ATM KOSPI200+ATM 콜옵션 매도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나스닥100+나스닥100 커버드콜
TIGER 미국배당+3%프리미엄다우존스 SCHD+S&P500 ATM 콜옵션 매도 15%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 SCHD+S&P500 ATM 콜옵션 매도 40%

세 번째는 커버드콜입니다.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을 재원으로 월배당을 지급하죠. 월배당 ETF에 최적화되어 있는 ETF가 개인적으로 커버드콜 ETF라고 생각하거든요. 커버드콜 ETF는 매월 일정한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이 발생하다 보니까 다른 유형의 월배당 ETF에 비해서 비교적 일정한 수준의 분배금을 지급하는 편입니다. 배당주 커버드콜도 최근에 많이 나오고 있는데, 이러한 배당주 커버드콜 같은 경우는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뿐만 아니라 주식의 현금 배당도 분배를 같이합니다.

채권형 ETF

비과세 금융상품 총정리 내용보기

채권형 ETF 비고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미국 30년 국채, 듀레이션 17.5년
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H) 미국 하이일드 채권
KBSTAR 23-11 회사채(AA-이상)액티브 만기채권형
KBSTAR 25-11 회사채(AA-이상)액티브 만기채권형
KBSTAR금융채액티브 국내채권
KBSTAR중기우량회사채 국내채권
TIGER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H) 미국 투자적격등급 채권

네 번째는 채권입니다. 채권도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고요. 이자 수익을 재원으로 분배금을 지급하는 방식이죠. 보시면 해외 채권이 3개 그리고 국내 채권이 4개입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주식형 ETF나 커버드콜 ETF와 비교하면 변동성이 작다고 볼 수가 있겠습니다.

리츠 ETF

대표지수 추종 ETF 비고
KODEX TSE일본리츠(H) 일본리츠
KODEX 다우존스미국리츠(H) 미국리츠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국내리츠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채권TR KIS 국내리츠+채권
TIGER 미국MSCI리츠(합성 H) 미국리츠

다음은 리츠인데요.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 월배당 인기의 원조 격이라고 할 수 있는 종목이 바로 리얼티인컴이죠. 이 리얼티인컴이 바로 리츠입니다. 리얼티인컴은 하나의 리츠라고 한다면 리얼티인컴과 같은 리츠 다수를 투자하는 ETF가 리츠ETF다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리츠는 건물주가 월세를 받는 것과 똑같아요. 부동산 관련 주식을 사는 게 아니라, 진짜 건물을 사고 임대료를 재원으로 분배금을 지급하죠. 오피스가 될 수도 있고 리테일 상가가 될 수도 있으며 또는 물류창고가 될 수도 있습니다. 보시면 미국 리치가 2개, 일본 리치가 하나 그리고 국내 리치가 2개가 있습니다.

혼합형 ETF

혼합 ETF 비고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 인컴형 ETF 10종목 투자
TIGER 글로벌멀티에셋TIF액티브 인컴 자산 투자

마지막은 혼합형인데요. 앞에서 말씀드린 월배당 ETF는 주식이면 주식, 채권이면 채권 특정 자산에만 투자했었는데 혼합형 ETF는 다양한 인컴 자산을 모두 투자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고요. 두 종목이 있습니다. 여기 ACE 글로벌인컴 TOP10 Solactive 경우는 7월 11일에 신규 상장한 ETF입니다. 앞에서는 유형별로 구분을 해봤는데 지금부터는 수익률별로 구분을 해보려고 해요.

매월 동일한 분배금을 지급하는 ETF는 드물다

엔화로 미국주식에 투자하기

매월 비슷한 수준의 분배금을 지급한다고 하더라도 분배율은 주가 수준에 따라서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지금 보여드린 숫자는 투자 시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말씀을 미리 드리고요. 6월 말 기준이라는 점을 반드시 명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월배당 ETF지만 사실 매월 동일한 수준의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는 ETF가 많아요. 그래서 가장 최근에 지급된 분배금만 가지고 분배율을 연환산 시켜서 말씀을 드리면 오해할 수가 있기 때문에 기초지수 정보를 참고해서 예상 배당 수익률로 분류했다는 점 미리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월배당률 레인지를 조금 넓게 잡은 것도 아주 정확한 데이터를 드릴 수가 없기 때문에 그러한 것이니까 양해를 미리 부탁드리겠습니다.

3%미만 배당금을 지급하는 ETF

ETF 유형 예상 분배금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채권형 3% 미만
KBSTAR 미국S&P500(H) 대표지수 추종 3% 미만
SOL 미국S&P500 대표지수 추종 3% 미만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배당주 투자 3% 미만
TIGER 미국다우존스30 대표지수 추종 3% 미만
WOORI200 대표지수 추종 3% 미만

먼저 3% 미만입니다. 미국 대표 지수 ETF가 이 구간에 해당하죠. 3% 미만으로 분류하긴 했는데 사실 연초에 주가가 너무 많이 올라서 현재 기준으로 S&P 500이나 다우지수 ETF 같은 경우는 분배율이 1% 후반, 2% 초반 정도 수준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한국의 TLT라고 할 수 있는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가 2% 후반대에 분배금을 지급합니다. 그리고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은 미국 배당주 ETF인데요. "분배율이 2%밖에 안 나오냐?" 다소 의아해하실 수도 있는데 고배당주 ETF가 아니라 25년 연속 배당이 증가한 종목들에 투자하는 배당성장주 ETF입니다. 그래서 배당 수익률이 그리 높지는 않습니다.

3%~5% 배당금을 지급하는 ETF

ETF 유형 예상 분배금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배당주 투자 3% ~ 5%
KBSTAR 200고배당커버드콜ATM 커버드콜 3% ~ 5%
KBSTAR 미국S&P배당킹 배당주 투자 3% ~ 5%
KODEX TSE일본리츠(H) 리츠 3% ~ 5%
KODEX 다우존스미국리츠(H) 리츠 3% ~ 5%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배당주 투자 3% ~ 5%
ETF 유형 예상 분배금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배당주 투자 3% ~ 5%
TIGER 200커버드콜5%OTM 커버드콜 3% ~ 5%
TIGER 200커버드콜ATM 커버드콜 3% ~ 5%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채권TR KIS 리츠 3% ~ 5%
TIGER 미국MSCI리츠(합성 H) 리츠 3% ~ 5%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배당주 투자 3% ~ 5%

가장 많은 ETF가 포함된 구간이 바로 3%에서 5%의 구간입니다. 그만큼 다양한 유형의 ETF가 포함되어 있기도 한데요.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이 바로 K-SCHD들이죠. 4 개의 ETF가 있고요. 3% 중반대 분배금을 월배당으로 지급합니다.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지금 미국 커버드콜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높아져 있는데 사실 국내 대표지수 커버드콜 ETF도 많습니다. 배당주 커버드콜도 있고요. 같은 코스피 200 커버드콜이라고 하더라도 ATM 콜옵션 매도, OTM 콜옵션 매도까지 선택의 범주도 상당히 넓어요. 사실 얘네들 같은 경우는 상장한 지는 좀 지났는데 최근에 월분배 형태로 바꾸면서 월배당 라인업에 포함이 되었죠. 그런데 안타깝게도 시장의 관심에서는 좀 많이 멀어져 있는 그런 상황입니다. 리츠 같은 경우는 자산의 성격이 조금 달라요. 작년 금리인상 국면에서 정말 제대로 터지긴 했지만 작년 같은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면 사실은 주식에 비하면 변동성은 아주 작은 편입니다. 매월 분배금을 받더라도 사실 ETF 변동성이 위아래로 크게 흔들리면 굉장히 힘들어하시는 분들이 계시잖아요. 그런 분들은 리츠를 고려해 보셔도 괜찮습니다.

5%~7% 배당금을 지급하는 ETF

ETF 유형 예상 분배금
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H) 채권형 5% ~ 7%
KODEX 미국배당프리미엄액티브 커버드콜 5% ~ 7%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리츠 5% ~ 7%
TIGER 미국배당+3%프리미엄다우존스 커버드콜 5% ~ 7%
TIMEFOLIO korea 플러스배당 액티브 배당주 투자 5% ~ 7%

다음은 5에서 7%의 배당금을 지급 급하는 ETF들입니다. 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 ETF는 말 그대로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합니다. 투자적격등급 채권 대비 신용등급은 낮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일드를 제공하는 채권을 하이일드 채권이라고 하지요. 쉽게 말씀드리면, 더 높은 신용 리스크를 부담하는 대신에 더 높은 보상을 받는 겁니다. 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 같은 경우는 5% 중반 수준의 월 배당을 기대 할 수가 있습니다. 미국 배당주 커버드콜 ETF는 두 종목이 있습니다. 5%에서 6% 수준의 월배당을 지급해왔고 또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TIMEFOLIO korea 플러스배당 액티브 같은 경우는 국내 배당주 ETF인데 과거 분배금 지급 내역을 보니까 분배금을 꾸준히 지급했더라고요. 앞으로도 계속 비슷한 수준의 분배금을 지급할 수 있느냐? 여부가 중요할 것 같긴 한데 국내 배당주 ETF에 관심 있는 분들은 관심 종목에 추가하셔서 모니터링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같은 경우는 국내 상장 리츠 14종목으로 구성된 ETF예요. 국내 리츠 관심 있으신 분들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를 관심 있게 보셔도 좋습니다.

7% 초과 배당금을 지급하는 ETF

ETF 유형 예상 분배금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 혼합형 7% 초과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커버드콜 7% 초과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 커버드콜 7% 초과

드디어 7% 초과 구간까지 왔습니다. 이 구간에서는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 ETF의 분배율이 연 12% 수준으로 가장 높습니다. 매월 1% 수준의 분배금을 지급해요. 월배당이 높으면 무조건 좋냐? 그건 아니죠. 나스닥 100에 투자를 하기 때문에 변동성이 굉장히 높습니다. 높은 분배금만 보시고 TIGER 미국나스닥100 커버드콜 ETF 투자하려고 하시는 분들은 이 변동성을 감안하고 들어가셔야 된다는 점 다시 한번 강조를 드리고요.

배당소득과 세금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에만 해당하는 얘기는 아니고 월분배 ETF를 선택하실 때는 무조건 월분배금이 높은 것을 선택하시는 것보다 어디에 투자하는 ETF인지 그러니까, 즉 분배금의 재원은 어디서 나오는지 자산은 성격은 어떠한지를 먼저 확인하고 투자하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TIGER 미국배당 플러스7%프리미엄다우존스 같은 경우는 7% 수준의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에다가 SCHD 구성 종목에 배당금이 더해질 거니까 7% 이상의 월배당은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ACE 글로벌인컴TOP10Solactive 같은 경우는 7월 11일 신규 상장 ETF인데요. 안정적으로 월분배를 실시하는 해외 상장 ETF 10개에 투자합니다. 기초지수 포트폴리오를 열어봤더니 국내 투자자들에게도 유명한 QYLD와 RYLD를 비롯해서 하이일드 채권 ETF 그리고 우선주 ETF, 고배당주 ETF들이 편입되어 있습니다. ETF들의 배당 수익률과 편입비를 고려해 봤을 때는 ACE 글로벌인컴TOP10Solactive ETF 같은 경우 연 7에서 8% 수준의 배당이 가능하지 않을까? 추정됩니다. 유형별로 그리고 예상 분배율별로 정리해 보았는데요. 매월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고 싶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