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정보

OPEC 추가 감산, 제조업 생산 지표, 구리 가격과 실업률, 샴의 법칙

by 궤적76 2023. 12. 4.
반응형

최근에 미국 GDP 3분기가 2년 만에 역대급 수치가 나왔다는 뉴스를 다들 보셨을 겁니다. 경기 침체는 사라지고 경제가 성장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잡히는 골디락스 기대감 때문에 주가가 최근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다만 4분기 미국 예상 GDP는 1.8%로 크게 하락하게 됩니다.

미국 3분기 GDP 2년만에 최고

OPEC 추가 감산 합의 

앤틀란타 연은 GDP 나우
원유 가격

이 수치는 애틀랜타 연은에서 발표하는 GDP 예측 수치인데요. 경기가 그만큼 안 좋아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우려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애틀랜타 연은에서 예측하는 GDP 4분기 수치를 자세히 보겠습니다. 초록색 선이 애틀랜타 연은의 예측치입니다. 12월 3일에 확인한 수치인데 단 하루 만에 초록색 선이 아래로 크게 꺾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8%였던 4분기 GDP 예상 수치는 1.2%로 급락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이겁니다. 유가가 급속히 하락하고 있습니다. OPEC+는 내년 1분기 약 하루 90만 배럴을 추가 감산하기로 합의했으나 시장 기대에 못 미치면서 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이유도 있습니다.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12월 1일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1일 발표된 미국 제조업 경기 지표가 시장의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유가가 더 하락했습니다. 보시다시피 47.6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46.7이 나왔습니다. 지금 보시는 빨간 선 아래로는 제조업 침체를 가리키는데요. 2022년부터 침체로 빠지고 나서는 최근 반등 하나 했지만, 다시 크게 하락하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유가가 하락한 건데 왜냐하면, 경기가 침체하면 공장에서 생산하지 않으므로 유가의 소비가 줄기 때문에 유가가 하락합니다. 그로 인해 향후 미국의 GDP도 하락한다고 예상한 것이죠.

제조업 생산성 지표

경기침체를 걸정하는 6개 지표

다음으로 볼 자료는 경기침체를 판단하는 전미경제연구소에서 보는 경제지표 6개입니다. 과거처럼 이 지표들이 빨간색으로 변하면 경기침체를 선언했는데요. 경기침체를 결정짓는 6개 지표 중 하나가 이제는 빨간색으로 변하면서 경기침체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제조업 생산성 지표입니다. 유일하게 빨간색으로 진입했는데요. 그 외 지표들을 보시면, 아직 빨간색으로 진입한 지표는 없지만, 최근 색깔 변화를 보면 조금씩 경기가 안 좋아지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초록색이 가장 좋은데 색이 연해지거나 하얀색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최근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전쟁이 다시 심해진다는 소식에 유가 하락세가 조금은 줄었습니다. 그럼에도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유가 하락을 막진 못했습니다. 그러면 경기침체의 대표적인 신호인 구리 가격을 알아보겠습니다.

구리 가격과 실업률

구리 가격 변동 그래프
미국 실업률
미국 실업률 그래프

구리는 모든 사업에서 쓰이기 때문에 구리 가격의 하락은 곧 경기침체로 불리기도 합니다. 역시나 2022년 이후 큰 폭으로 하락한 뒤 쉽게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물론 최근 반등하고 있지만 그렇게 크게 반등했다고 보기 힘든 수치입니다. 그리고 이번 주에는 아주 중요한 지표가 발표됩니다. 바로 실업률인데요. 한국 시간으로 12월 8일 22시 30분에 발표를 하게 됩니다. 보시면, 이번 예측치도 3.9%로 지난달과 동일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하지만 예상치 못하게 0.1%라도 높게 나와서 4%라고 나온다면 경기침체 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사진으로 보시는 샴 리세션 지표 때문입니다. 샴의 법칙이라고 불리는 이 지표는 3개월 평균 실업률이 이전 12개월 중 최저치보다 0.5% 높으면 경기침체에 빠졌다고 판단합니다. 근데 이번에 4%로 나오면 샴의 법칙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이번 실업률 지표가 중요하다는 것이죠.

샴의 리세션 지표, 샴의 법칙

샴 리세션 지표 그래프

역사적으로 경기침체가 공식 선언되는 데에는 실제로 경기침체가 일어난 후 최장 1년까지도 걸립니다. 즉 경기침체가 선언되면 이미 시장은 몇 개월 전부터 경기침체에 빠져있다는 뜻이죠. 그래서 이 지표는 경기침체를 예측한다기보다 이미 경기침체에 빠졌다는 것을 알려주는 지표로 실제로 1970년대 이후 모든 경기침체에서 이 신호가 발생했고 경기침체 2에서 4개월 구간에서 발생했습니다. 실제로 샴의 법칙 데이터는 연준 경제지표 데이터인 FRED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번에 4%의 실업률이 나오면 이 지표는 급속하게 올라가게 됩니다. 그러면 현재 우리는 이미 경기침체에 진입했고 경기침체가 발생한 지 2에서 4개월 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과거 경기 침체를 보면 이 샴의 지표가 크게 상승했는데, 현재 그래프도 살짝 위로 치켜들며 샴의 지표가 우상향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시그나 그룹 파산 신청

시그나 그룹 파산 신청
시그나 그룹 정리

이미 경제가 안 좋다는 소식은 여러 곳에서 들리고 있습니다. 기업들의 파산이 계속 일어나고 있는데요. 특히나 유럽 부동산 쪽이 안 좋아지고 있습니다. 오스트리아 대형 부동산 기업이자 유럽 빌딩 부자인 시그나 그룹이 파산을 신청했습니다. 시그나 그룹은 자산 가치가 무려 270억 유로, 우리나라 돈으로 약 38조 원에 달하는 거대 부동산 개발 및 판매업체입니다. 미국 뉴욕의 크라이슬러 빌딩, 독일 베를린의 유명 백화점 및 초호화 건물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하지만 이런 기업이 파산함에 따라 유럽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하락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그나 그룹에 돈을 빌려준 은행들도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 타임스에 따르면 스위스 줄리어스 베어와 크레디 스위스, 오스트리아 라이파이젠, 프랑스 나티시스, 이탈리아 유니크레디 등 총 120개의 은행이 시그나 그룹과 대출로 엮여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올해 초처럼 크레디 스위스의 파산 확률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JP모건체이스는 시그나 그룹의 부채가 자산가치의 절반가량인 130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지금 당장은 큰 영향은 없는 듯하지만, 리먼 브라더스도 작은 은행부터 시작한 걸 생각한다면, 이런 기업의 파산은 유심히 봐야 할 듯합니다.

기업 재고량 위축 수준

기업 재고량
S&P500 월별 상승률

다음은 기업 재고량을 볼 수 있는 자료입니다. 기업 재고가 0 가까이 떨어지면서 위축 수준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지표가 이렇게 떨어지고 나서는 세 가지 사건이 발생했는데요. IT 버블, 리먼 브라더스 그리고 코로나19입니다. 지표와는 다르게 최근 주식시장 상승률을 보면 역대급으로 상승했습니다. 1928년부터 주식시장을 분석했을 때 11월 S&P500 상승률은 6번째입니다. 그만큼 보기 드물 정도의 큰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다만 이렇게 큰 상승 이후에는 조금씩 상승률이 감소하면서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줬습니다. 어떤 주식도 무작정 상승하지는 않습니다. 쉬어가야 더 멀리 갈 수 있는 법이죠.

2024년 전망

S&P500 지수 예상
이전 S&P500 지수 예상

그렇다면 기관들은 내년 S&P500 지수를 어떻게 예상할까요? 절반 이상의 기관들이 현재 수치보다는 더 올라갈 거라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 4개 기관만이 역사적인 전고점을 뚫고 상승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 외 나머지 기관들은 내년에도 S&P500이 역사적인 전고점 아래에 있을 거라고 분석했습니다. 심지어 모건스탠리, 바클레이스, JP모건은 내년에는 지금보다 더 하락할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과연 누가 가장 예측을 잘할까요? 이 자료를 본다면 기관들의 의견은 그저 참고 자료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수치와 가장 근접한 기관은 유일하게 도이치뱅크였고 나머지 기간들은 모두 틀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앞서 본 2024년 수치도 그저 참고 자료일 뿐 또 어떤 사건이 터지냐에 따라 증시는 급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건 현재 주가 대비 저평가된 기업을 모아가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것만이 변동성의 큰 시장에서 멘털을 잡으면서 버틸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나중에는 분명 증시보다 더 빠르게 회복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2023년 최대 상승 종목

2023년 미국 하락 종목

리스트에 기업들은 다우지수에서 속해 있는 기업들인데 올해 수익률 순으로 나열한 자료입니다. 1위인 세일즈포스는 90% 상승했고 인텔은 두 번째로, 73% 상승했습니다. 3위가 마소, 4위가 애플입니다. 반대로 가장 크게 하락한 주식은 미국 2위 약국 체인 기업인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로 올해 40% 이상 하락했습니다. 그다음은 셰브론으로 올해 16% 하락했고 3M도 12%, 존슨앤드존슨도 약 10%가량 하락했습니다. 나이키와 코카콜라도 올해 수익률은 여전히 마이너스입니다. 다우지수에 있는 주식들이니 여기 있는 주식들을 잘 분석하시면 내년에는 또 좋은 수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배당주 배당금 먼저 확인하고 투자한다. 배당금지급 배당기준일 변경

먼저 4분기 배당 기준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배당주 투자를 즐겨하시는 분들은 내용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한국배당주는 4분기 배당금을 받으려면, 다시 말해 기

thesea76.tistory.com

 

 

미국 주식에 투자 중이라면 올해가 가기 전에 꼭 한번 매도하세요.

오랜 기간 장기투자로 노후 준비를 하시는 분들은 훗날 나의 수익금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매년 특히 12월엔 주식을 팔고 250만 원을 공제해 놓는 습관을 반드시 들이셔야 합니다. 당장 세금을 안

thesea76.tistory.com

 

 

연금저축/연금저축펀드/연금저축보험의 기본 개념과 혜택

오늘은 연금저축에 대해서 아주 기본적인 내용들을 초등학생도 이해하기 쉽게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먼저 우리나라 연금은 4층 구조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가장 아래 1층은 국가에서 보장하

thesea76.tistory.com

 

반응형

댓글